네이버(40)
-
컴퓨팅 사고 | 컴파일링
✔ 학습목표 컴파일링의 네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. 컴파일링 지금까지는 아무것도 모른 채 코드를 컴파일했다면, 이제부터는 연습과 응용을 통해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. C 코드로 작성된 쉬운 예시(hello.c)를 보자. #include int main(void) { printf("hello, world\n"); } "hello, world"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. 우선 main 이라는 함수가 있다. 이는 프로그램의 시작점으로 실행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같다. main 함수 안의 printf는 출력을 담당하는 함수이다. 이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stdio.h 가 필요하다. stdio.h는 C언어로 작성된 헤더 파일로, printf 함수의 프로토 타입을 담고 있다. C언어 강의에서 우리는 cl..
2021.02.01 -
컴퓨팅 사고 | 하드웨어의 한계
✔ 학습목표 메모리 용량이 프로그램의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. 메모리 컴퓨터는 RAM(랜덤 엑세스 메모리)라는 물리적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있다. 우리가 작성한 프로그램은 구동 중에 RAM에 저장되는데, 이는 유한한 크기의 비트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확한 결과를 내기도 한다. #include #include int main(void) { // 사용자에게 x 값 받기 float x = get_float("x: "); // 사용자에게 y 값 받기 float y = get_float("y: "); // 나눗셈 후 출력 printf("x / y = %.50f\n", x / y); } 그중 하나가 부동 소수점의 부정확성이다. 예시 프로그램을 보자. 이는 사용자에게 실수형 데이터 타입(float..
2021.01.31 -
C 언어 | 사용자 정의 함수와 중첩 루프
✔ 학습목표 사용자 정의 함수와 중첩 루프를 작성할 수 있다. 사용자 정의 함수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가 있다. 이런 코드를 여러 번 쓰지 않고 함수 형태로 저장해두면 코드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다. 이것이 사용자 정의 함수다. "cough"라고 세 번 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생각해보자. #include int main(void) { printf("cough\n"); printf("cough\n"); printf("cough\n"); } 가장 단순한 방법은 printf 함수를 세 번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다. 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동일한 작업의 반복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. #include int main(void) { for (int i = 0; ..
2021.01.31 -
C 언어 | 자료형, 형식 지정자, 연산자
✔ 학습목표 1. 다양한 데이터 타입과 형식 지정자를 나타내는 방법을 학습한다. 2. 다양한 연산자를 이용하여 조건문을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자료형(Data Type) 아래 목록은 자료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. bool : 불리언 표현, 예) True, False, 1, 0, yes, no char: 문자 하나, 예)'a', 'Z', '?' string: 문자열int: 특정 크기의 정수, 예)3, 58, 0, -3 long: 더 큰 크기의 정수 float: 부동소수점을 갖는 실수, 예) 3.14, 0.0, -85.45 double: 부동소수점을 포함한 더 큰 실수 자세한 값은 다음과 같다. * int는 대략 40억까지 셀 수 있다. 40억개 이상의 데이터를 가진 일부 거대 기업이 아니라면 대..
2021.01.30 -
C 언어 | 조건문과 루프
✔ 학습목표 조건문과 루프를 c로 작성할 수 있다. 변수 설정 조건문과 루프에 관한 코드를 작성하기에 앞서, 앞서 배운 변수를 복습해보자. 지난 글에서 처럼 C는 오래된 언어기 때문에 저장하고자 하는 변수의 종류를 꼭 명시해주어야 한다. 만약 숫자를 세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 counter라는 변수를 설정한다면 int counter = 0; 처럼 말이다. 여기서 int는 저장하려는 데이터가 정수(integer)라는 것을 의미한다. counter는 변수의 이름, 0은 그 값에 0을 저장(초기화)하는 것이다(할당 연산자 '=' 사용). 코드의 마지막에는 꼭 세미콜론(;)을 붙여주는 것도 중요하다. 그렇다면 숫자를 세는 기능은 어떻게 구현할까. C에서는 변수의 값을 1씩 증가시키는데 다양한 방법이 있다. 1..
2021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