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blem Solving(26)
-
[프로그래머스] Level 1 모의고사 | 파이썬 | 완전탐색 (🌟 itertools.cycle 사용하기)
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.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.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.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: 1, 2, 3, 4, 5, 1, 2, 3, 4, 5, ...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: 2, 1, 2, 3, 2, 4, 2, 5, 2, 1, 2, 3, 2, 4, 2, 5, ...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: 3, 3, 1, 1, 2, 2, 4, 4, 5, 5, 3, 3, 1, 1, 2, 2, 4, 4, 5, 5, ...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,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..
2022.02.07 -
[BOJ/백준] 10799번 쇠막대기 | 스택 | 파이썬
문제 풀이 import sys def cutIron(bar): stack = [] cnt = 0 for i in range(len(bar)): if bar[i] == '(': stack.append('(') elif bar[i] == ')': if bar[i-1] == '(': stack.pop() cnt += len(stack) else: stack.pop() cnt += 1 return cnt bar = list(sys.stdin.readline()) print(cutIron(bar)) 스택 자료구조를 사용한 문제. 입력으로 받은 문자열을 리스트 bar로 바꿔 쇠막대기 개수를 세는 함수 cutIron에 넣었다. bar의 길이만큼 반복문을 수행한다. 1) bar[i] 값이 '('이면 쇠막대기의 시작을 ..
2021.09.29 -
[BOJ/백준] 2630번 색종이 만들기 | 분할정복 | 파이썬
문제 풀이 import sys def cutPaper(x, y, n): # x,y좌표와 색종이 크기 global cnt_white, cnt_blue print(x, y, n) for i in range(x, x+n): for j in range(y, y+n): if paper[x][y] != paper[i][j]: cutPaper(x, y, n//2) cutPaper(x, y+n//2, n//2) cutPaper(x+n//2, y, n//2) cutPaper(x+n//2, y+n//2, n//2) return # 호출한 함수는 중복되지 않도록 종료시킴 if paper[x][y] == 1: cnt_blue += 1 else: cnt_white += 1 n = int(input()) paper = [list..
2021.09.28 -
[BOJ/백준] 5430번 AC | 덱 | 파이썬
문제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T = int(sys.stdin.readline()) for _ in range(T): func = lis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queue = deque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[1:-1].split(",")) if n == 0: queue = deque() error = False cnt_R = 0 for i in range(len(func)): if func[i] == 'D': if queue: if cnt_R % 2 == 1: queue.pop() else: queue.popleft() else: e..
2021.09.01 -
[BOJ/백준] 1874번 스택 수열 | 파이썬
문제 풀이 import sys n = int(input()) target = [in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 for _ in range(n)] stack = [] res = [] for i in range(1, n+1): stack.append(i) res.append('+') while stack and target: if stack[-1] == target[0]: stack.pop() res.append('-') del target[0] else: break if target: print('NO') else: for i in range(len(res)): print(res[i]) 1부터 n까지의 수로 입력된 수열을 만드는 문제. sys.stdin.readline().st..
2021.08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