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프로그래머스] 가장 먼 노드 | 파이썬 (💡 최단 경로 알고리즘)
2022. 6. 8. 14:28ㆍProblem Solving/Programmers
문제 설명
문제 풀이
가장 멀리 떨어지 노드란 최단경로로 이동했을 때 간선의 개수가 가장 많은 노드를 의미한다는 부분에서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.
전체 코드
import heapq
def dijkstra(start):
q = []
# 시작 노드로 가는 최단경로는 0
heapq.heappush(q, (0, start))
distance[start] = 0
while q:
dist, now = heapq.heappop(q)
if distance[now] < dist:
continue
for i in graph[now]:
cost = dist + i[1]
if cost < distance[i[0]]:
distance[i[0]] = cost
heapq.heappush(q, (cost, i[0]))
def solution(n, edge):
INF = int(1e9)
global distance, graph
distance = [INF] * (n + 1) # 최단경로
graph = [[] for i in range(n + 1)] # 간선의 정보
for i in range(len(edge)):
a, b = edge[i]
graph[a].append((b, 1))
graph[b].append((a, 1))
start = 1
dijkstra(start)
# 최단경로가 가장 긴 노드의 개수 구하기
max_val = max(distance[1:])
answer = distance.count(max_val)
return answer
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해 시작 노드에서부터 다른 노드로 가는 각각의 최단경로를 구한 후, 최단경로 테이블에서 경로가 가장 긴 노드의 개수를 구해 출력했다.
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코드는 여기 참고❗
그래프 문제가 이전보다 덜 무섭다,,, 이코테👍👍👍
코딩테스트 연습 - 가장 먼 노드
6 [[3, 6], [4, 3], [3, 2], [1, 3], [1, 2], [2, 4], [5, 2]] 3
programmers.co.kr
'Problem Solving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디스크 컨트롤러 | 파이썬 (💡 SJF 스케줄링 구현하기) (0) | 2022.06.01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Level 2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| 파이썬 (👀10진수 변환하기) (0) | 2022.02.11 |
[프로그래머스] Level 1 모의고사 | 파이썬 | 완전탐색 (🌟 itertools.cycle 사용하기) (0) | 2022.02.07 |
[프로그래머스] Level 1 키패드 누르기 | 파이썬 (0) | 2021.07.29 |
[프로그래머스] Level 2 시저 암호 | 파이썬 (0) | 2021.07.16 |